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지식

유주택자 1금융권 전세자금대출 조건 및 한도 총정리

by 사계절 투자자 2025. 4. 30.

유주택자도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무주택자만 가능한 줄 알았던 전세자금대출이지만,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1 주택자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1금융권에서 제공하는 전세자금대출 상품을 중심으로 조건, 한도, 금리 등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 볼게요.

1주택자 전세자금대출
1주택자 전세자금대출

 

유주택자도 전세대출이 가능한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1주택자도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합니다. 다만, 기존 주택에 실거주하지 않을 것 등 몇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해요. 예를 들어, 기존 주택이 지방에 있거나 직장 문제 등으로 서울에 전세로 이사하려는 경우, 은행에서 실수요자로 인정해 주는 사례가 많습니다.
 
중요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 주택 미거주 조건: 기존 주택에 실거주하지 않아야 합니다. 가족이 거주 중이거나 공실 상태라면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전입 예정: 대출을 받는 전셋집에 직접 거주해야 합니다.
  • 기존 주택 처분 조건: 일부 대출 상품은 기존 주택을 일정 기간 내 처분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습니다.

전세자금대출 상품 주요 조건

기본적으로 1 주택자의 경우 정부 지원 기금으로 운영되는 전세자금대출은 불가하지만,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1 금융권에서 제공하는 전세자금대출은 아래 조건에 따라 가능하기도 합니다.
 
기본 조건

  • 대상자: 만 19세 이상 내국인
  • 보유 주택 지역: 규제지역, 투기과열지구 내 3억 원 초과 아파트를 보유한 경우 전세자금 대출 불가
  • 주택 요건: 보증금 5억 원 이하(서울), 지방은 3억 원 이하
  • 전세계약서 제출: 계약금 5% 이상 지급 후 가능
  • 신용점수: 600점 이상 권장

 

주택금융공사(HUG) 보증

1 금융권 대출은 대부분 HUG(주택도시보증공사) 혹은 SGI서울보증 보증을 필요로 합니다. 1 주택자의 경우 HUG 보증을 이용하면 전세대출 승인 확률이 높아집니다.
 
대출 한도

  • 최대 2억~3억 원 (HUG 기준)
  • 전세보증금의 70~80% 수준
  • 기존 주택의 시세, 전세금 대비율(LTV)에 따라 달라짐

 
대출 금리

  • 고정 또는 변동금리 선택 가능
  • 2025년 기준 연 4.0%~5.0% 수준
  • 금리는 신용등급과 소득 수준, 보증기관에 따라 달라짐

1 주택자가 전세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은 상황이라면 1 금융권 전세대출이 승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기존 주택이 지방이고, 직장이 수도권에 있는 경우
  • 기존 주택은 부모님이 거주 중이고, 본인은 독립해서 전세로 나가는 경우
  • 기존 주택이 경매, 매각 예정인 경우
  • 일시적 2 주택자이지만 실거주 목적의 전세이동

 

주의사항

  • 기존 주택 처분 조건: 일부 은행에서는 기존 주택을 2년 내 매각해야 하는 조건이 붙을 수 있어요.
  • 보증기관 기준 확인: HUG와 SGI의 보증 기준이 조금씩 다르므로 은행 상담이 필요합니다.
  • 신용점수 하락 가능성: 대출 시 신용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계획적으로 접근하세요.

 

전세대출과 관련된 꿀팁

  • 정부 지원 전세자금대출 상품도 확인해 보세요. (청년전세자금, 버팀목전세자금 등)
  •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로 인해 고소득자라도 한도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 공적 보증을 통해 금리를 낮출 수 있어요.

마무리

1 주택자라고 해서 전세자금대출을 포기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수요자임을 증명할 수 있고 전세입주에 대한 명확한 계획이 있다면 1 금융권에서도 충분히 가능성을 열어둡니다. 주거 이전이나 자녀 교육 등 이유로 전세 이주가 필요한 분들이라면 꼭 은행 상담을 받아보시길 추천드려요.

728x90